상단영역

본문영역

'용산 대통령 시대' 선회 이유와 소통 접점

  • Editor. 강성도 기자
  • 입력 2022.03.21 15: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강성도 기자] “이제 청와대는 없다. 청와대를 임기 시작인 5월 10일 개방해 국민께 돌려드리겠다.”

윤석열 제20대 대통령 당선인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시대'를 선언하면서 이같이 약속했다. 윤 대통령 당선인은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국민께 불편을 드리는 측면과 청와대를 온전히 국민께 개방해 돌려드리는 측면을 고려하면 용산 국방부 청사로 이전하는 결정을 신속히 내리고 추진하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새 집무실을 어디로 하느냐보다는 지난 70여년간 ‘구중궁궐'로 불려온 청와대를 벗어나 제왕적 대통령제 청산에 나서는 게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는 진정한 길이라는 판단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광화문 대통령 시대’ 공약을 지키지 못하게 된 이유와 그 대안으로 ‘용산 집무실’을 택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면서 새 집무 공간에서 탈권위의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회견장에서 대통령실 용산 이전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윤 당선인은 "저는 선거 과정에서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리겠다는 약속을 했다“며 ”일단 청와대 경내로 들어가면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벗어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역대 정부에서 대통령 집무실 이전 시도가 번번이 좌절된 경험에 비춰보더라도 충분히 알 수 있다. 또다시 국민과 약속을 저버린다면 이제 다음 대통령 누구도 이것을 새로이 시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영삼, 김대중,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청사 집무를 검토하고, 문재인 대통령은 ‘광화문 대통령 시대’ 공약까지 내걸었다가 경호, 비용 문제 등으로 결국 없던 일이 됐던 만큼 최근 불거지는 속도조절론에도 국민과의 약속 이행 차원에 좌고우면하지 않고 정면돌파를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광화문 시대가 아닌 용산 시대로 선회하게 된 이유는 네 가지로 꼽힌다.

윤 당선인은 "최소한의 경호 조치에 수반되는 광화문 인근 시민들의 불편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며 "청와대 내 일부 시설의 사용 역시 불가피해 청와대를 시민들에게 완전히 돌려드리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광화문 정부청사에 비해 용산 국방부 청사를 대통령 집무실로 사용할 경우 국민의 불편을 최소할 수 있는 점이 두드러진다. 광화문 정부 청사의 경우 전파 차단으로 인한 시민들의 통화 방해, 집무실 주변 집회 금지로 인한 광화문 광장 이용 제한 등 국민들의 불편이 가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용산 국방부 청사 인근은 이미 군사보호지역으로 지정돼 있는 터라 추가적인 규제는 없다.

국가안보 대처 차원에서도 기존 청와대 지휘 벙커시설을 이용해야 하는 광화문 집무실에 비해 용산 집무공간에는 지휘 통제가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예산 측면에서도 광화문 이전보다 용산 이전이 훨씬 비용(496억원 추산)이 덜 들어가고 효율적이며, 용산공원 개방을 통해 국민과 수시로 소통할 수 있는 것도 비교우위의 대목이다.

국방부 청사와 정부서울청사 비교. [그래픽=연합뉴스]
국방부 청사와 정부서울청사 비교. [그래픽=연합뉴스]

윤 당선인은 개방성과 소통에 방점을 둔 용산 집무 공간을 강조하면서 백악관을 하나의 모델로 제시했다. 워싱턴DC 미국 백악관의 구조와 운영, 소통 방식을 보면 용산 집무실의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다.

동·서·북쪽 3면이 연방 건물 등에 둘러싸인 백악관은 남쪽으로 대형 공원을 접하고 있다. 철제 담장에 둘러싸여 있어 밖에서 백악관 구역 내부를 훤히 들여다볼 수 있는 구조다. 남쪽의 긴 잔디밭 끝단의 담장으로는 중앙관저를 정면으로 바라보게 돼 관광객의 포토포인트이자 시위대의 집회장소로 꼽힌다.

대통령 가족의 숙소인 중앙관저를 기준으로 왼쪽에 대통령 집무실이 있는 웨스트윙(서관), 오른쪽에는 영부인 집무 공간인 이스트윙(동관) 등이 연결돼 있고, 백악관 옆에는 대통령비서실 직원들이 근무하는 '아이젠하워 행정동'이 있다. 4층 규모의 웨스트윙의 1층에는 대통령 집무실인 '오벌 오피스'를 중심으로, 부통령, 비서실장, 국가안보보좌관, 대변인의 사무실과 국무회의가 열리는 캐비닛룸 등이 촘촘히 배치돼 있다.

백악관 기자실과 브리핑 공간인 ‘제임스 브래디 프레스룸’은 웨스트윙의 서쪽과 맞닿은 단층 건물에 소재해 있다. 로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 브리핑룸을 자주 찾았다. 조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 백악관 내 다른 장소에서 기자회견을 하거나 백악관을 들고날 때 즉석 문답으로 언론과 소통하는 걸 즐기는 편이다.

윤 당선인은 대통령, 참모진, 외부전문가, 언론이 한 건물을 사용하는 집무 공간으로 옮기면서 다양하게 소통 점점을 넓히겠다는 의지다.

그는 "물리적 공간의 문제보다 더 중요한 것은 소통의 의지라는 점을 잘 알고 있다"며 "집무실 1층에 프레스센터(기자실)를 설치해서 수시로 언론과 소통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필요하면 언제든지 1층에 가서 기자들을 통해서 “국민들과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소통”을 하겠다는 것이다.

10개층으로 이뤄져 있는 1만5000㎡ 규모의 국방부 청사 건물에서 대통령 집무실이나 비서실이 어디로 갈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외부전문가들이 정부 측과 자주 머리를 맞대는 민관합동회의도 입주하게 돼 열린 소통의 공간은 더욱 확장된다. 윤 당선인은 “일단 청와대 직원 수는 줄이고 (나머지 공간에는) 민관합동위원회의 사무국, 회의실을 많이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시대'가 열린다. [그래픽=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 '용산 시대'가 열린다. [그래픽=연합뉴스]

대통령 집무실 오른편과 남쪽 전면에 자리잡을 용산공원은 국민과의 소통 측면에서 새롭고 중요한 대목이다. 현재 용산 미군기지 부지는 전체 반환 예정 부지(203만㎡)의 10%가량이 돌려받은 상태다. 시민 공원을 조속히 조성하고 개방해 잔디밭에서 결혼식도 여는 등 일반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으며, 대통령과 언제든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낮은 펜스를 설치하면 백악관처럼 용산 공원에서 언제든지 대통령이 일하는 모습과 공간을 들여볼 수 있게 된다. 그런 ”정신적 교감 자체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의미를 부여한 윤 당선인은 ”이젠 청와대란 없다"고 거듭 강조하면 새 대통령 집무실 명칭을 국민 공모를 통해 선정하겠다고 밝혔다.

대선일 11일 만에 집무실 이전 단안을 내린 윤 당선인으로선 ’반쪽 공약 이행‘이라는 비판과 함께 여론을 설득하는 일이 과제로 남았다. 일각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결단이라면서, 정작 충분히 국민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밟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다는 점에서 “공간이 의식을 지배한다고 생각한다”는 윤 당선인의 설득논리가 얼마나 힘을 받을지 관심을 끌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