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건설기업 5곳 중 2곳이 ‘잠재적 부실기업’, 근본적인 대책은?

  • Editor. 박대연 기자
  • 입력 2023.11.29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업다운뉴스 박대연 기자]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저금리 기조에 따라 과감한 투자로 부채를 늘려온 건설업계가 지난해부터 이어진 고금리와 원자잿값·인건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국내 건설기업 5곳 중 2곳이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년 이상 부실이 지속된 한계기업도 증가세를 보이는 가운데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 이후 건설업계 부실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29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부 회계법인의 감사를 받는 국내 건설기업의 이자보상배율은 4.1배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영업이익을 금융비용(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이다.

건설업의 이자보상배율은 2019년 5.6배에서 2021년 6.4배까지 회복했으나, 지난해 4.1배로 급락하면서 5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전체 산업의 이자보상배율이 5.1배인 것을 고려하면 건설업계의 채무 상환 능력은 평균보다 낮은 수준이다.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공사현장에서 한 건설노동자가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건설기업 5곳 중 2곳은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공사현장에서 한 건설노동자가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기업은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 채무 상환이 어려운 잠재적 부실 상태로 진단되며, 한국은행은 이러한 기업을 ‘취약기업’으로 분류한다.

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잠재적 부실 건설기업은 업계 전체의 41.6% 수준인 929곳으로 집계됐다. 잠재적 부실기업 비중은 2018년 32.3%(642곳)에서 매년 상승해 4년 만에 10%p 가까이 올랐다. 이는 전체 산업 평균인 36.4%에 비해 높은 비율이다.

한국은행은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일 경우 외부 도움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부실기업을 뜻하는 ‘한계기업’으로 간주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기업은 387곳으로, 이는 전체(최근 3년간 재무 자료가 존재하는 건설 외부감사 기업 기준)의 18.7%에 해당하는 규모다.

건설기업 가운데 한계기업 비중은 2020년 15.8%(305곳), 2021년 17.3%(349곳)로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토목건설업의 한계기업 수가 2020년 67개사에서 2022년 96개사로 늘어 3년 만에 43.3% 상승했다. 건물건설업은 2020년 149개에서 2022년 183개사로 늘었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에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259곳에서 2021년 302곳, 지난해에는 333곳으로 매년 큰 폭 증가했다. 반면 대기업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계기업에 해당하는 건설 대기업은 2020년 46곳에서 2021년 47곳, 지난해에는 54곳으로 조사됐다.

한계기업의 지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수도권(17.4%)보다는 비수도권 비중(20.3%)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수도권(0.8%p)보다 비수도권 증가율(2.3%p)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평균(18.7%)보다 높은 지역은 세종(50.0%), 제주(34.4%), 경남(29.6%), 광주(28.4%), 충남(22.2%), 대구·경북(21.1%), 서울(19.6%), 부산(18.8%) 등이다.

건설 외감기업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체 비중. [사진=대한건설정책연구원 보고서 캡처]
건설 외감기업 이자보상배율 1 미만 업체 비중. [사진=대한건설정책연구원 보고서 캡처]

전문가들은 한계기업 증가 이유로 저금리 기조에 따라 부채 증가가 이뤄진 가운데 물가 상승으로 인한 금리 상승, 이자 비용의 부담 급증,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후 지속적으로 오른 자잿값 상승을 꼽았다.

건설산업은 외부 환경에 대한 민간도가 높아 경제위기에 취약하고 연쇄부도와 일자리 감소 등의 부정적 파급효과가 큰 산업으로 꼽히고 있다. 전문가들은 건설경기의 하락이 올해부터 본격화되고 있어 문제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고금리 기조가 계속되고 있고 건설 원가 역시 높은 상태로 올해 건설업 부실은 더욱 악화할 것”이라며 “건설경기 반등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2024년 이후 건설업체의 전반적인 부실은 본격화할 것이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10월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326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79건)보다 82.12% 늘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는 전년 동기(1313건) 대비 20.25% 증가한 1579건으로 조사됐다. 반대로 종합건설사 신규 등록은 지난해 1~10월 4850건에서 올해 1~10월 923건으로, 전문건설사 신규 등록은 지난해 1~10월 4071건에서 올해 1~10월 3874건으로 각각 줄었다.

이와 관련해 건설업계 관계자는 업다운뉴스와 통화에서 “현재 자잿값 상승, 고금리에 따른 수요 부족이 맞물리며 하반기 예상과 다르게 부도 건설사가 급증하고 있다”며 “내년 전망도 그다지 밝지 않는 가운데 유동성 공급 현실화, 부실기업 선제적인 구조조정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응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부가 시행 중인 PF 한도 및 규모 확대 정책은 실효성이 있는지 의문이 들고, 중대재해처벌법 강화 및 안전 감독과 처벌 규정 강화 등으로 채찍질만 하는 것처럼 느껴진다”며 “시장이 힘들어 건설업계 자체가 휘청거리고 있을 때 벼랑 끝으로 내모는 것이 아니라 대대적인 규제 완화를 통해 위험을 벗어나는 것이 우선시 돼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도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과연 건설업계가 이 위기를 어떻게 이겨낼 수 있을지 정부와 건설사들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업다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

© 2024 업다운뉴스. All rights reserved. ND소프트